본문 바로가기

한국사

11. 발해사

728x90
반응형

발해사 

 

1. 대조영 ' 돈화 ' 건국 ~ 거란에 멸망

 

2. 발해에 관한 기록

- 구당서 (발해말갈전) , 신당서 (발해전)

- 이승휴 ( 제왕운기 - 최초 발해사연구 ,  서사시로 구성)

- 유득공 ( 발해고 - 신라발해남북국주장 , 발해사만 다룬 최초의 사서 )

- 한치윤 ( 해동역사 - 발해를 고, 백, 신, 고려와 같은 비중으로 다룸 )

- 신채호 ( 조선상고사 - 발해 , 신라 양국시대론 )

- 정약용 ( 아방강역고 - 발해사를 우리민족사로 다룸 )

- 안정복 ( 동사강목 - 삼국사기를 읽고 북국이 발해임을 밝혀냄 )

- 이종휘 ( 동사 - 단군, 기자, 삼한, 후조선본기와 따로 <세가> 편을 서술하면서 발해세가를 기자,부여,가야세가와 더불어 입전시킴 )

 

3. 3성6부 ( 당관제모방, 독자성 有 )   

    정당성(대내상) - 6((좌)충인의(우)지예신) , 선조성, 중대성

 

4. 주자감 (국립대)

5. 중정대 (감찰기관) - 통신 (사정부) , 고려(어사대) , 조 (사헌부)

6. 지방제도 - 5경15부62주

7. 발해가 우리민족이 세운나라라는 증거

 - 일본에 보낸 외교문서

 - 당과 신라는 발해를 고구려의 후신국가로 인식

 - 발해기록역사서

 - 말갈족은 우리민족의 한 분파

 

* 당적요소

 - 3성6부  / 주작대로 / 15부62주 / 10위관등제 / 동경성축조 / 잠자는미녀상 / 정효공주묘 (벽돌무덤)

 

* 고구려적요소

- 5경제 / 궁전지의온돌장치 / 천장의모줄임구조 / 사원지의 불상양식 / 와당의연화문 / 석등 / 발해성터 / 발해음악 / 정혜공주묘 (굴식돌방)

728x90
반응형

'한국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13. 골품제도  (0) 2023.07.26
12. 조세제도의 변천  (0) 2023.07.25
10. 신라왕들의 업적  (0) 2023.07.25
9. 백제 초기왕들의 업적  (0) 2023.07.25
8. 고구려초기 왕들의 업적  (0) 2023.07.2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