고려의 중앙관제
1. 고려 = 태봉 + 신라 + 송 + 당 + 독자(도병마사 , 식목도감)
광평성 정통 3사 3성 6부
↓ 중추원 ↓
내사문하성 중서문하성, 상서성(2성6부)
2. 왕 - 2성 - 중서문하성(시중) : 문하시중 , 재신(2품 ↑) , 낭사 (3품 ↓)
(성종) └ 상서성 - 6부 - 이호예 (과거담당) 병형공
└ 중추원(추신/승선) : 왕명출납 , 군기
└ 삼사 : 출납 , 회계
└ 어사대 : 감찰 , 탄핵
└ 식목도감
└ 도병마사 = 재신+추신
* 도병마사 - 고려성종때 첫설치 , 현종때 하나의 기구
- 도평의사사 (원간섭기) → 70 ~ 80명 이르는 재추참여 (도당)
최고의 상설정치기구
- 조선정종때혁파 → 행정(의정부) 군사(삼군부) 왕명출납 (승정원)
3. 대성제 = 어사대 + 낭사 (간쟁,서경권)
대간제 (조선) = 사헌부 + 사간원
서경권 : 조선 - 5품이하의 당하관임명시 / 고려 - 모든관리임명시
4. 산직 = 동정직 (음서 , 과거합격후) , 검교직 (승진 후 대기자)
5. 고려군사제도 (2원척체계)
중앙군 -- 2군 - 응양군 , 용호군
직업군└ 6위-좌우위, 신호위, 흥위위 → 수도변방방위
└ 금오위 (경찰) , 천우위 (의장) , 감문위 (궁성수비)
지방군 -- 5도 > 부 > 목 > 군 > 현 (주현군) > 촌 : 주현군 (의무군 - 번상교대)
└ 양계 > 진 (주진군) > 촌 : 주진군 (직업군-상비군)
└ 연호군 = 농민 + 노비 / 조선 - 잡색군 (양반 + 노비) / 속오군 (양 + 농 + 노)
중방 - 군사최고회의기구
특수군단 - 광군사 (거란) 별무반 (여진 - 신기군 , 신보군 , 항마군)
└ 삼별초 (좌우별초(야별초), 신의군)
'한국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9. 고려의 과거제도 (광종 , 쌍기 , 왕권강화) (1) | 2023.08.23 |
---|---|
28. 고려 지방행정조직의 특징 (이원적체제) (0) | 2023.08.23 |
26. 고려초기의 왕들 (1) | 2023.07.27 |
25. 시대별차이 ( 제도성격) (0) | 2023.07.27 |
24. 지방세력의 대두 (0) | 2023.07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