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한국사

28. 고려 지방행정조직의 특징 (이원적체제)

728x90
반응형

 

 

고려 지방행정조직의 특징 (이원적체제)

 

1. 지방관이 파견되지 않은 속군과 속현이 더 많았다.

2. 촌과 향소부곡은 현에 소속되어 향리가 직접 다스렸다.



3. 향리 - 조세공물의 징수 , 노역징발의 사무관장 , 일품군의장

* 원칙은 속군 속현은 인근지방관이나 , 실질적으로 향리가 다스림



4. 지방견제 - 사심관제 , 기인제도 , 상피제 , 임기제 , 계수관제



5. 성종 때 → 기내(적현,기현), 12목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→ 3경(개경,서경 - 이상태조 ,동경) // 10도

6. 현종 때 - 5도양계 , 4도호부 (나중에 5도호부) , 8부

    - 경기 - 적현+기현

   └ 3경 = 개경 , 서경 , 남경 (숙종)

   └ 5도 > 4도호부 > 8목 (목사) > 15부(지사) > 군현촌 ( 촌주) > 향소부곡

      ( 안찰사 - 경상도 / 전라도 / 양광도 / 교주도 / 서해도 )

   └ 양계(병마사) - 동계 / 북계 > 진 > 촌



7. 고려 : 5도 안찰사 (6월) , 수령(5년) - 사심관제

    조선 : 관찰사 (1년) , 수령(5년) - 상피제



8. 특수행정구역 (향소부곡)

  ㉠ 민란발생시 감무파견

  ㉡ 무신 - 공주명학소의난이후 폐지 현상활발 ( 조선태조 - 제도상폐지)
 
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