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3. 도교와 도참사상
도교와 도참사상 1. 도교 - 불로장생사상 , 현세사상 , 무위자연 , 현세구복 - 노자(도덕경) , 장자 - 방법 : 양생술 ,숭무 , 방술 , 비법 , 둔갑술 , 신선사상 , 무위자연사상 - 삼국시대(고구려 - 영류왕때 , 고구려만 성행) - 고려시대 : 가장 성행했던 시기 - 조선시대 : 초제(소격서) → 민족의식 높이는 기능 2. 고구려 - 사신도 , 연계소문 3. 백제 - 산경문전, 사신도 , 사택지적비 , 무녕왕릉지석 , 금동대향로 4. 신라 - 세속오계 , 최치원의사산비문 , 국선 , 풍류도라는 화랑명칭 5. 발해 - 정효공주비문 6. 고려 - 첨성단 , 도관 (도교사원) 7. 조선 - 원구단 ( 삼구시대에 비롯 )
22. 5교9산
5교9산 ● 교종 - 귀족 , 형식 , 의례 , 지식 , 조형미술 - 상대 : 열반종 , 계율종 - 중대 : 화엄종 > 법상종 > 법성종 - 지관 , 교관겸수 ● 선종 - 호족 , 사색 , 참선 , 수행 , 조형미술쇠퇴 - 하대 : 9선 - 도의 : 가지산파(최초) - 이엄 : 수미산파(최후) - 정혜쌍수 , 돈오점수 , 견성오도 , 직지인심 , 불립문자 , 교외별전 * 보열경 ( 보덕 - 열반종 - 경복사 ) // 자계통 ( 자장 - 계율종 - 통도사 ) * 의상화부균 ( 의상 - 화엄종 - 부석사 - 균여 ) 1. 화엄종 - 의상 , 귀족사이 가장유행 , 일심사상 / 일즉다다즉일 비로자나불 / 원융무애 / 원만구족(의천) / 고려균여 (성상융회) 2. 법상종 - 유식불교 , 원측 (미륵신앙) 3. 법..
21. 원효에 대하여
원효에 대하여 1. 원효 + 요석공주 = 설총 (화왕계, 신문왕때 유교적도덕정치 강조) 2. 법성종개창 3. 금강삼매경(론) , 대승기신론(소) , 화엄경 (소) 4. 십문화쟁론 : 물과얼음 근원같다 , 인간평등 , 나무아미타불, 민중을 중심으로 화합주장 5. 정토교보급(창시x) , 불교대중화 (점찰법회 , 관음신앙, 밀교) 6. 화쟁사상 = 대승기신론소 + 십문화쟁론 → 각 경전의 불교사상을 한단계 높은차원에서 하나의 원리로 통합 7. 일심사상으로 다른종파와의 대립극복에 노력함 8. 정토신앙 = 내세신앙 ( ↔ 현세) , 평등, 전불교적현상 , 통일전 이미발생, 국왕부터 폭넓게 수용 → 염불만으로 극락갈 수 있다. 9. 고려시대에 화정국사로 추앙 10. 무애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