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8. 한국문화의 일본전파
한국문화의 일본전파 1. 구석기 : 육로가 연결되어 그대로 일본에 영향을 미침 2. 신석기 - 조몽토기 , 청동기 - 야요이 , 가야 - 스에키 3. 삼국시대 - 아스카 백제 - 아직기 , 왕인(한자,논어,천자문) , 5층석탑 , 제일 큰 영향 고구려 - 혜자 , 담징 , 강서고분 (사신도) 신라 - 조선술 , 축제술 , 미륵보살반가사유상 4. 통일신라 - 하쿠호 , 불교유교전파 , 심상(화엄종전파) , 정치제도 5. 고려 - 양류관음상 ( 혜허의그림) 6. 조선 - 조선통신사
17. 교육제도
교육제도 1. 고구려 / 백제 / 신라 / 통일신라 / 발해 *고구려 - 귀족중심 , 문무일치 , 수도중심 - 태학 (국립, 소수림) - 경당 (지방사립대, 장수, 평민자제입학가능) - 한자사용 * 백제 - 귀족중심 , 문무일치 , 수도중심 - 5경박사 , 의박사 , 역박사 , 한자사용 * 신라 - 귀족중심 , 문무일치 , 수도중심 - 화랑도 , 한자 및 이두사용 * 통일신라 - 국학 (신문왕) , 15~30세 귀족자제 (진골 , 6두품) ,9년수학 , 논어효경 (공통과목) - 독서삼품과 (원성왕) - 우리나라 최초관리선발제도 , 진골귀족반발 및 골품제로 인해 실패 * 발해 - 주자감(국립대, 문왕) , 발해문자 (공식 - 한자사용) 2. 고려 ㉠ 국자감(성종)의 경사육학 (인종) - 3학 : 국자학 (..
15. 한4군 & 금석문
한4군 & 금석문 1. 영향 : 고대국가지연 , 철기문화보급, 8조금법 → 60조 , 민족의식자각, 철기농구기보급 → 농업생산량 ↑ * 낙랑문화는 중국의 이식문화가 그대로 표현된 것이 아니라 고조선의 고유한 전통과 문화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. 2. 금석문 * 낙랑 - 정제현 신사비 (가장오래된 비석) * 신라 - 지증왕 영일냉수리비 (갈문왕, 신라를 사라로기록) - 법흥왕 울진봉평신라비 (율령, 관등제, 노비제) - 진흥왕 단양적성비 (한강상류진출) - 순수비 : 북한산비 (한강유역확보,김정희발견) 창녕비 (대가야정벌) 황초령비, 마운령비 (최남선)(원산만진출) - 진평왕 남산신성비 (역제연구,지방통치) 임신서기석 (화랑도연구) * 백제 - 사택지적비 (도교사상, 세월무상) * 고구려 - 광개토대왕비 (..
14. 삼국의 고분
삼국의 고분 1. 고구려 - 돌무지무덤 (적석총) → 굴식돌방무덤 ( 벽화O , 도굴O ) - 적석총 , 장군총 ( 벽화 無 ) - 벽화 : 쌍무여우서 , 무용수 , 각씨 , 강사 - 벽화초기 (주인생활상) → 후기 (추상화) 2. 백제 - 한성 ( 적석총 - 석촌동고분 ) → 웅진 ( 굴식돌방무덤, 벽돌무덤 = 전축분 ) - 무령왕릉 ( 벽돌무덤 , 中남조 , 지석 ) → 사비 (굴식돌방무덤 = 횡혈식석실분 , 세련) 3. 신라 - 돌무지덧널(목곽)무덤 : 벽화X , 천마총, 호우총 예외 : 어숙묘 (굴식돌방무덤 - 고구려신라국경선 부근) ※ 통일전 신라는 벽화가 거의 없다고 보는것이 좋다. 예외 : 어숙묘 , 고아동 4. 통일신라 - 굴식돌방무덤 ( 호석 + 12지신상 ) - 김유신묘 벽화 O : 쌍..